눅 22:1-23 유월절 만찬, 새 언약의 만찬
1. 깨어 있는 삶을 삽시다(1-6)
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 다가오자,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을 무슨 방도로 죽일까 궁리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들이 백성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열둘 중의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탄이 들어가니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에게 가서 예수를 넘겨줄 방도를 의논하자, 그들이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언약하고, 유다가 허락한 가운데 예수님을 무리가 없을 때 넘겨줄 기회를 찾습니다.
유월절을 앞두고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은 예수님을 죽일 방도를 모색하지만, 백성들을 두려워합니다. 이때 사탄이 가룟 유다에게 들어가 예수님을 넘겨줄 계획을 세우게 합니다. 유다는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과 은밀히 거래하여 예수님을 넘겨줄 기회를 엿봅니다. 사탄은 끊임없이 인간의 마음을 조종하여 악한 일을 행하도록 부추깁니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은 백성들을 두려워하여 공개적으로 예수님을 죽이지 못하고 은밀한 방법을 찾지만, 가룟 유다는 돈에 대한 탐욕 때문에 예수님을 배신합니다.
우리는 사탄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항상 깨어 기도하며 말씀으로 무장해야 합니다. 유다는 겉으로는 예수님의 제자였지만, 마음속에서는 이미 탐욕과 불신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죄는 드러나지 않게, 조용히 우리의 마음을 파고듭니다. 그래서 물질적인 욕심을 경계하고 정직하고 청렴하게 살아가야 합니다. 또한 두려움에 굴복하지 않고 진리를 따라 살아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악한 자들의 계략을 분별하고 미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는 죄의 위험성을 깨닫고, 영적으로 깨어 경성하며 바른 재물 관을 가져, 사탄의 유혹을 물리쳐 본분을 다하는 삶을 살도록 합시다.
2. 말씀에 순종합시다(7-13)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 날이 이르자 예수님은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어 유월절을 준비하도록 하자,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라고 묻자, 예수님은 성내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따라 들어가서 그 집주인에게 ‘선생님이 네게 하는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객실이 어디 있느냐’라고 물으면 마련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준비하라’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두 제자가 말씀대로 순종하여 유월절을 준비합니다.
예수님은 유월절 준비를 위한 모든 것을 미리 계획하시고 제자들에게 구체적인 지시를 내리십니다. 예수님은 물동이를 든 사람을 만날 것과 그 집주인이 객실을 제공할 것을 미리 아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계획이 우연이 아닌, 철저히 준비된 것임을 보여줍니다. 베드로와 요한은 예수님의 말씀에 의심 없이 순종하여 유월절을 준비합니다. 순종은 믿음의 실천이며, 사소해 보이는 명령에도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것을 아시기에 신뢰하고 그분의 계획을 믿어야 합니다. 우리의 삶 속에서 예수님께 모든 것을 맡기고 그분의 인도하심에 순종해야 합니다. 우리는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말씀과 기도로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며, 작은 순종부터 실천해야 합니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명령에 의문 없이 순종했습니다. 말씀을 듣고 즉시 행동하였습니다. 우리도 말씀과 성령의 음성을 분별하며, 주저하지 않고 실행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섬세한 인도하심과 예수님의 권위와 겸손을 배우며, 우리는 순종과 믿음으로 결단하며 순종하도록 합시다.
3. 감사함으로 은혜를 간직합시다(14-20)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라고 말씀하시면서 ‘이 유월절이 하나님의 나라에서 이루기까지 다시 먹지 아니하리라’라고 말씀하시면서 잔을 받으사 감사 기도 하시고 ‘이것을 갖다가 너희끼리 나누라’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라고 말씀하시면서 떡을 가져 감사 기도 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고난을 받기 전에 제자들과 유월절을 나누고 싶어 하십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이 유월절이 하나님의 나라에서 이루어질 때까지 다시 먹지 않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구원이 완성되고, 하나님의 나라가 도래할 것을 예표 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떡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자신의 몸이라고 하시고, 잔을 주시며 자신의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성찬이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고, 그와의 연합을 확인하며, 새 언약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거룩한 예식임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고 하심으로써 성찬식은 그 기억을 되새기고, 신앙공동체로서의 연합을 강화하는 시간임을 말씀합니다.
우리는 성찬식을 통해 예수님의 고난과 희생을 깊이 기억하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사랑과 희생을 기념하고, 이를 통해 신앙공동체와의 연합을 더욱 강화하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또한 예수님은 십자가의 고통을 예고하시며 감사 기도를 드리셨습니다. 우리도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감사할 점을 찾아 기도하며 마음을 다스려 참 평안을 유지해야 합니다.
피는 생명입니다. 이 생명을 위해서 예수님의 생명이 드려졌습니다. 주님이 우리의 죄를 위하여 피를 쏟으셨다는 것을 잊지 말고 보혈의 피가 역사하는 삶을 살도록 합시다.
4. 자신을 살피는 삶을 삽시다(21-23)
예수님은 떡과 잔을 나누면서 ‘보라 나를 파는 자의 손이 나와 함께 상 위에 있도다 인자는 이미 작정 된 대로 가거니와 그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자 제자들은 서로 ‘우리 중에서 이 일을 행할 자가 누구일까’라고 말합니다.
예수님과 함께 식사하는 자리, 가장 가까운 제자 중 한 명의 손이 예수님을 파는 손이라는 사실은 배신이 얼마나 가까이에서, 예상치 못한 사람으로부터 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우리에게 인간관계의 연약함과 죄성의 깊이를 깨닫게 합니다. 예수님은 ‘인자는 이미 작정 된 대로 가거니와’라고 말씀하며 하나님의 구속 계획을 강조하시면서, 배반자의 책임을 지적하시며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라’라고 말씀하심으로써 인간의 선택이 하나님의 주권 안에서도 철저히 평가받음을 말씀합니다. 이때 제자들은 ‘우리 중에서 이 일을 행할 자가 누구일까’ 하며 서로 묻는 모습에서 자신을 돌아보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가까운 관계 속에서도 인간의 연약함과 죄성을 인식하고, 서로를 향한 경계를 늦추지 않으며 사랑으로 감싸안아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끊임없이 자신의 마음을 살피고, 혹시라도 죄의 싹이 자라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하여 죄의 심각성을 깨닫고, 작은 죄라도 가볍게 여기지 않으며, 회개를 통해 죄에서 돌이키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매일의 삶에서 내면의 상태를 점검하여 깨어 근신하며, 보혈이 역사함으로 신실한 종으로서, 하나님께 귀하게 쓰임 받는 삶을 살도록 합시다.